이제서야 처음 언급한 전략이 나오네요. 전략이라고 해봐야 별 거 없습니다.
뭐 특별하고 신출귀몰한 것도 없고 어느 정도 수준 되면 다 보이는 정도입니다. 이런 흐름을 얼마나 역동적으로 리딩을 하고 끌고 가느냐가 생존을 담보 하겠죠. 앞으로의 세상은 더더욱 그럴 것 입니다. 안주하는 서비스기업들은 무너지겠죠. 한 순간에 녹아 내리듯이 그렇게..
힘겹고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그 동안 외면 했던 Security 라는 측면을 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힘든 상황이 될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 체질적으로 서비스에 내재된 기술적 보안역량이 서비스의 질에 매우 큰 차이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는 보유 여부에 따라 극복하기 힘든 절대적인 차이가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보안전문가와 보안 관리자의 차이( http://blog.naver.com/p4ssion/50014996901 ) 에서 언급한 GSM (General security manager )과 SSM (Special Security manager) 의 구분과 동일합니다. GSM이 아닌 SSM의 보유여부에 따라 향후의 IT 서비스 기업의 흥망성쇠는 달라집니다. 최소한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는 곳은 그러 합니다. 단지 인력을 확보 하고만 있는 것이 아닌 역량 발휘가 가능한 환경까지도 조성이 되어야만 하는 문제입니다. 국내의 현실은 SSM보다는 GSM이 더 우대 받는 현실이지만 앞으로의 다가올 위협에 뼈저리게 느낄 기회가 주어지게 될 것입니다. 위협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국내에서는 유야무야 얼버무리는 것이 된다 하여도 해외사업에서는 절대 그렇게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때 가서야 알게 될 것입니다. 후회해도 늦었지만.. (하고 싶은 말들은 있습니다만. 이런 내용은 사설로 나중에 더 가슴에 맺히면 쓰도록 하겠습니다. 꾸벅)
1. Google의 online security 전략 –개요
http://blog.naver.com/p4ssion/50019586109
2. online security 전략 –상세 - * Trustworthy web
* Google security strategy
3. online security의 방향과 미래 ??
* Google의 전략
- Direction : Passive protection ->Active protection으로의 전환
개념상으로 단순한 바이러스의 제거 ( 발생 이후에 제거가 가능한 부분) 서비스의 제공에서 벗어나 올해부터는 본격적으로 Active한 보호를 가능케 하도록 서비스 틀이 변화 될 것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1~2년 후에 일반화된 경향이 될 것으로 예측 됩니다.
Active한 보호 방안이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AV 서비스의 제공이 아닌 악성코드 감염을 원천 차단하고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에 대한 사전대응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악성코드를 적극적으로 줄이겠다는 의사로 풀이가 됩니다.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Passive 와 Active Protection 두 방안의 조화로운 운영을 통해 문제 발생 부분을 최소화 할 것으로 보이며 프로세스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체제를 갖출 것 같습니다.
Active (예방 ) - Passive (대응) - Response ( 관리)
Active :
GreenBorder Product를 통한 악성코드 감염의 원천방지 ( 전체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
일부 구글팩 및 구글툴바를 활용한 사용자 선택적인 사용이 중점이 될 것으로 예상됨
Passive:
구글팩에 포함된 Symantec의 AV 백신을 통한 사용자 치료 서비스의 강화 , 향후 다양한 멀티 벤더 제품을 사용하도록 할 가능성이 있음.
Response:
Stopbadware.org 사이트 운영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가능성을 지닌 사이트의 검색 결과 격리
stopbadware.org 사이트에 등록이 되는 사이트들은 AV벤더와 협력하여 탐지가 되는 결과를 가지고 진행합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KISA와의 협력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정보를 활용하여 stopbadware.org 사이트에 등록을 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위와 같이 세가지 방향에서의 online security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움직임이 본격화 되었다는 것은 security라는 측면이 online business에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를 인지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부 보안 강화 및 서비스의 보안 강화의 측면에서 한층 더 나아가 user 단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security가 가미된 서비스로 방향을 설정한 것이라 봅니다. 그리고 현재의 위협 상황에서는 사용자까지도 보호를 해야만 서비스의 안정성이 유지가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기본개념으로는 secure search 와 search integrity (security 측면에서의 무결성- 악성코드로부터 Free한..)으로 흐름분석이 가능 한데 일련의 이슈들을 서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ecure search & Browsing
secure한 search라는 부분은 제가 해석한 부분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올해 상반기에 인수된 Greenborder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전편에서 언급 하였듯이 검색 서비스 자체의 보안 측면은 아닙니다. 검색을 통해 노출된 사이트들을 통해 사용자가 피해를 입는 부분을 최소화 하자는 것이 근본 방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Google을 통해 검색을 하고 그 결과를 클릭 하였는데 악성코드에 감염이 되었다는 문제 제기를 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식이 됩니다.
이 움직임은 올해 초에 구글의 Anti malware 팀에서 조사한 내용을 통해 근본 근거를 마련하고 이후의 Action item으로 Greenborder의 인수를 추진한 것으로 확인이 됩니다. 조사되고 발표된 내용은 전체 검색 결과의 10%가 악성코드 및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는 자체 조사 결과 입니다.
Greenborder에 대한 설명은 전편에 설명을 하였지만 부가적으로 더 언급을 하면 Secure한 Browsing을 구글 내에서는 가능하게 하겠다는 근본취지를 지니고 있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글을 통해 검색이된 결과는 사용자가 클릭을 하여 해당 사이트로 이동을 하여도 악성코드에 감염되지 않는 Frame을 만들겠다는 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해당 사이트의 컨텐츠들은 사용자 PC의 임시파일 저장소에 저장이 되어 (cache ) 사용자의 브라우저 화면에 보여지게 됩니다. 대부분의 악성코드들이 감염 시키는 방식이 다운로드 이후 실행을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GreenBorder의 경우에는 이 공간을 격리 시킵니다.
격리라는 의미는 별개의 가상공간에서 다운로드를 받고 사용자의 Browser에 보여지게 한 뒤에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 이탈 시에는 가상공간을 없애는 유형으로 악성코드가 사용자 PC에 직접 침입 하는 유형을 원천 차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념 상으로는 좋은 방향이지만 국내의 현실에서는 문제가 많을 것으로 보이며 문제는 다수 발생 할 것으로 보입니다.
ActiveX 또는 부가 설치가 필요한 모든 부분에 대해 예외 설정 등을 하게 되면 문제는 계속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구글 툴바 혹은 구글팩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하게 되는 유형으로 서비스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7.11일 현재 구글은 postini 라는 이메일 보안 업체를 6000억원을 주고 인수 합병을 하기로 한 기사가 나왔습니다. 관련 업체의 프로필을 살펴본 결과 기업용 제품으로서 단순한 이메일 보안업체가 아닌 일관된 Policy의 적용 및 내부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서비스 유형으로 파악이 되며 Google의 서비스 측면에서 보았을때 향후 기업용 시장에 대한 진출 도구로서 활용이 되고 Gmail에 대한 서비스 강화, 이익 강화 ( 미국의 3대 이메일 보안 서비스 업체라고 함) 측면에서 보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Search integrity
검색결과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의미는 검색 관련된 서비스를 하는 업체에게는 매우 중요한 factor 입니다. 그동안의 무결성이 검색 결과에 대한 정확도의 측면에서 접근 하였다면 지금은 전체적인 Web상의 위험요소 발달에 따라 다른 부분으로 전이가 되고 있습니다.
검색결과에 대한 정확도 측면 + 검색결과에 대한 신뢰도 ( 신뢰도 측면은 사용자 PC에 대한 안정성 측면의 신뢰도 입니다.) 가 이제는 기본적인 흐름으로 대두 될 것입니다. 이런 연유에 따라 구글의 Anti malware 팀에서는 구글 검색 결과 중 10%가 악성코드 유포의 위험성이 있다고 스스로 발표를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가 발표를 하면서 위험성이 있다는 것도 사용자들에게 알리고 이런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의 Action을 제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Action 제한을 하더라도 큰 범주에서는 사용자의 보호를 위한다는 당위성 확보로 적절하게 활용이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빠른 변화에 대한 사전작업이라고 보입니다.
Search integrity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하는가? 하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드러난 부분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Stopbadware.org 사이트의 활용 - 하버드 법대에서 운영을 하도록 합니다. AV 벤더 및 악성코드 유포를 탐지하는 여러 업체 및 기관과 협력하여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는 사이트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사이트 정보를 구글의 검색 결과에 반영을 합니다. Black list에 등재된 사이트의 경우 검색 결과에 노출이 되어도 사용자가 클릭을 하면 악성코드 유포 위험성 안내와 함께 stopbadware.org 사이트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관련 업체에서 이의제기를 하고 싶어도 구글 에게 직접 하는 것이 아닌 하버드법대에 이의제기를 해야죠. blacklist에서 제거 되는 부분도 악성코드 유포 위험요소를 제거한 이후에 되도록 되어 있고 black list에서 제거되면 검색결과는 정상적으로 해당 사이트 링크를 활성화 시켜 줍니다.
주변 환경을 이용하는 측면에서 영악하다고도 볼 수 있는데 구글의 정보통제 및 독점에 대한 문제 회피를 위해 하버드 법대를 활용한 개념이 있고 또한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전 세계 협력 기관 및 AV 벤더의 자료를 취합해 적용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는 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자료를 제공해주는 기관이나 벤더는 향후 대폭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며 확대에 따라 신뢰도는 더 높아지는 결과를 유발 할 것입니다.
( http:://www.stopbadware.org )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KISA에서 제공되는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지역적으로 특화된 내용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한 체제를 수립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Response 영역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할 내용이 없으며 구글팩의 설치부터 AV 백신의 실행까지 모두 사용자 동의 하에 가능한 부분이라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향후에는 위협의 증가에 따라 기본으로 제공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Integrity와 Secure search & browsing에 대한 간략한 개념을 설명 드렸습니다.
영향은 어떻게 될까요? 짧은 소견이지만 생각 나는 대로 정리 하겠습니다.
Google의 검색 안정성 강화 ( 이익 창출을 위한 필수도구로서의 security factor 인식의 산물)
Active , Passive , Response process를 통한 전방위적인 대응체제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고 각각의 영향력이 다름으로 인해 효과는 제한적이나 향후 1~2년 이내에 Frame화 되어 정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Active method (Green border technology)의 활용은 제한적이 될 가능성이 높고 위에 언급 하였듯이 Toolbar 혹은 별도의 Plugin 형식으로 전파가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활용하는 용도로 이용될 가능성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언급 하였듯이 전체적인 보안기술의 적용이 어렵습니다.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많은 사이트들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정상적인 접근이 어려워 지는 경우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용자의 설정 요구가 매우 많아져서 오히려 사용자를 떨어지게 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구글은 사용자의 요구와 Security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Web 상에서 노출되는 많은 위험들을 앞으로 적극적으로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한 사실이지만 비지니스적으로는 강조해야만 불편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일소 할 수 있는 명분이 생기는 것이겠죠.
Passive 와 Response에 해당하는 이슈들은 앞으로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특히 AV벤더와의 협력관계 확대를 통한 Response 영역의 확장은 노하우가 쌓일 수록 강한 힘을 발휘 할 것 같습니다.
글을 쓰는 목적은 변화하는 흐름을 분석하고 이해해서 향후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분석한 것이며 그 과정에서 최근 구글의 행동이 주목할 만 하여 케이스 스터디 차원일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 심각하게 고민한 내용이 아니고 그 동안 나온 기사를 바탕으로 생각나는 대로 나열한 부분입니다. 내용 중에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설명하는 사람의 무지를 탓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내용 중에 정확하지 않은 내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신문기사만 보고 판단한 것이라 다른 내용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보는 관점이라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재주가 없어서 그런지 이해한 내용을 전달 하는 것도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 사족 나갑니다.
왜 국내 IT Service 기업들은 변화를 리딩 하지 못할까요? IT Service에서 안주와 자리 지키기는 죽음에 이르는 길입니다. 그 죽음의 길에 조금 더 빨리 가도록 하는 것이 학벌과 지연과 인맥에 의한 것이겠죠. 특히 Global Service기업이라면 학벌, 지연, 인맥에 의존 하는 순간 초고속 급행열차로 죽음의 길에 가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고 키워야 될 자기 것들을 팽개치고 이러다 보면 순식간에 무너지겠죠. 전문직무분야인 보안 분야에서도 그러한데 다른 분야는 오죽하겠습니까? ^^; 위험을 인지 하지도 못한다면 더 심각한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매 순간이 위기인데 말입니다. 백척간두 진일보라는 말은 개인에게만 해당되는 말은 아닙니다. 지금 이 순간의 모든 IT서비스기업들에 해당이 되는 의미입니다. 당장 1년 뒤를 보장할 그 어떠한 것도 없습니다. 세계와의 경쟁에는 학벌과 인맥, 지연이 통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서비스는 이미 세계와 경쟁 중입니다. 4천만의 시장으로 먹고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고만고만한 기업이라면 이름 없이 사라짐을 당연하게 알아야 될 것입니다. 아쉽게도 문제는 그런 기업들이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일 뿐입니다. 아쉽지만 여기까지 인 것 같습니다.
'Security Indicator >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년 공격 유형의 변화 -Application Attack (0) | 2010.04.27 |
---|---|
2003년 1.25 대란을 분석한 글 (0) | 2010.04.27 |
2) Trustworthy web - Google online security (0) | 2010.04.27 |
1.25 대란에 대한 뒷담화.!. 개인 생각 (0) | 2010.04.27 |
1) Google online security 전략 - 개요 (0) | 2010.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