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curity Indicator/Insight

IT보안의 현재 위험과 대응에 대한 예상

현재의 취약성 및 위협 동향과 향후의 위협과 대응

최근 동향을 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이 가능합니다.

 

* 클라이언트 단위의 위험 증가 ( 개인 PC 에 대한 중점적인 공격 )

해외에서는 피싱등을 이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는 직접적인 클라이언트 PC 공격 및 취약성을 이용한 악성코드 설치가 주된 유형입니다.

* 일반 Application에 대한 공격 증가

버그트랙이나 기타 메일링을 보아도 운영체제 등에 대한 취약성 보다는 운영체제 기반하에서 영리 목적이나 운영을 목적으로 코딩된 솔루션에 대한 취약성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보다 더 집중화된 Bot의 공격

일전에 Bot 관련된 언급을 하면서 Monster Bot 이라는 용어를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취약성이 나올때 마다 공격 기능이 하나씩 더 추가가 되어 하나의 Bot이 공격하는 공격의 가지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유형이죠. 또한 운영체제의 구분 없이 Application 에 대한 공격 유형도 첨가 되는 형태라 가히 Monster bot으로의 지속적인 진화가 예상 됩니다. )

* Application Worm의 일반화 가능성 매우 증대

특정 국가 , 특정 지역 , 특정 회사에 기반하여 사용되고 있는 Application 자체의 취약성을 통해 전파되고 통신망을 무력화 하는 공격이 매우 증가할 것으로 판단 됩니다. 무선 관련이나 블루투스 관련된 웜의 전파도 동일 유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요약이 됩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위협을 정리 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가 됩니다.

 


향후 지속될 위협 :

 

* 오래전 부터 언급한 기반시설의 IP 전환 및 온라인 노출이 많아 짐으로 인한 위협의 현실화

   ( 기반시설의 위협에 관한 문서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너무 빨리 문제제기를 한 면이 있지만 향후 지속적으로 일반화 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 무선 및 WiBro , DMB의 활성화를 통한 웜 전파  ( 요건 스마트폰 및 기타 매개체로 변경 될 수 있겠네요)

   (IP 기반의 모든 머신에 해당이 될 것이며 이 경우에는 프로토콜 간의 Gateway의 보안설정 이나 허용 조건에 따라 보다 많은

   편리성을  제공할 경우 광범위하게 전파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 보안 인력의 부재 지속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각 영역을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보안 인력은 수요는 급증하나

  인력은 계속 부재한 상황이 지속 될 것입니다. )

 

시스템 , Application , 네트워크 , 종합적인 대응 , 보안 체계 수립 이 모든 분야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마스터급의 보안 인력은 향후 매우 부족하게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 또한 Penetration Test의 영역이 매우 확장이 되어 상당히 많은 부분을 커버하게 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물론 수요도 많이 있을테지만 국내의 현실상 오랜기간 숙달된 인력이나 전문성을 유지하고 있는 인력의 부재로 힘겨운 상태가 지속이 될 것 같네요. 협상력만 잘 보완 한다면 적절한 전문성을 유지한 인력의 경우 상당히 좋은 대우를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Application 취약성 발견 지속 및 클라이언트 공격 , 피싱 공격을 통한 이익 추구 일반화

(올해도 지속이 되었듯이 향후에도 지속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신규 프로토콜 상의 문제를 이용한 새로운 유형의 공격들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무선 관련된 802.X 대역에 대한 문제 출현 가능성이 높습니다. )


* Bot Network의 복잡화 및 일반화

(Bot 공격의 복잡성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 될 것이고 말 그대로 MonsterBot으로의 진화가 진행 중이며 더욱 심화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지는 고유명사화 될 정도로 피해를 입힐 수 있을 것 입니다.)


* 수정 할 수 없는 Application 결함의 증가

(취약성을 수정하거나 보완의 책임이 없는 공개 소프트웨어 혹은 개발사의 몰락으로 인한 위험성 증가 )


위와 같이 예상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한 대응 및 보안 활동으로는 다음과 같은 행위가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대응 및 발생 현상 :

 

*Application 개발 프로세스 단계에서의 보안성 검토 일반화

*Application 취약성 진단 도구의 활성화

*웜의 일반 PC 침투에 따른 PC 보안 강화
( 패치 및 PC 솔루션 회사들 기회가 될 수도..)

*바이러스 및 웜 제작의 일반화에 따른 보안의 어려움 따라서 능력이 있는 회사의 경우 자체 제작이나 변형의 요구에 따른 매뉴얼 보안 툴의 출현 가능성 ( clam 백신처럼...)

* 공격에 대응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함으로 인해 지속적인 피해 속출 가능성

* 보안 전문 인력의 이탈 가속화
( 노력에 대한 성취도가 매우 낮아 질 것으로 보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매우 많아 질 것이나 그에 따른 성취도는 낮으며 업무강도 및 피로도는 급증 할 것으로 예상됨 )

* 위의 항과는 반대로 보안 인력풀은 산업의 요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증가 요청이 있을 것임. 그러나 전반적인 하향 평준화는 어쩔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됨.

 

기타


*MS 등의 OS 벤더의 기타 사업 진출 가속화
( 보안 및 기타 영리 분야로의 대대적 진출)

 

* 구글등에 의한 Contents 제공 회사의 인프라 점유 확대 및 인프라에 대한 비용이 아닌 컨텐츠 제공에 따른 비용을 청구 받을 가능성 매우 증대

( 이런면에서 구글의 인프라 사업 진출 및 무선망 확대 사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님)

*손쉬운 IT 기업의 창업이 어려워짐

( 일정 규모 이상의 IT 대기업 출현으로 아이디어를 통한 신규 진출 및 창업이 어려워 질 것이며 인프라 및 보안 분야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요구를 맞추어야 함으로 더욱 더 어려워 질 것임. 보안 취약성은 기업의 규모를 가리지 않고 발견이 되고 있으며 일반 Application 발견 비율이 매우 높아 안전한 보안성을 지닌 소프트웨어 설계에는 매우 많은 비용이나 시간이 소요 되고 있음 )

* 세계적인 보안 부분 대기업 출현

시만텍 등의 보안 전문 출발 회사 부터 네트워크 부분의 시스코등에 의한 보안 분야 흡수 합병을 통한 거대 기업 출현으로 한 분야의 전문회사는 독창성이나 기술 모방성에 대해 독보적인 영역을 지니지 않는 이상 견디기 힘든 환경 지속될 것임.


위와 같이 아침에 번뜩 든 생각을 정리해 봤습니다.

짧은 생각이지만 참고 하시고 좋은 의견 있으시면 붙여 주세요.
 
-> 위의 내용이 2005년에 해랩 사이트에 올린 예상입니다.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그리고 지금은? 예상적중률은 어느정도? 

 지금은 거의 예상을 포기한 상태인데.. 위협은 2005년의 현실 인식이나 지금 2010년의 현실에서도 동일하며 더 가중 되어 있습니다. 대책 부분도 이미 6년이나 된 이야기 이지만 제대로 된 부분 있습니까?  지금도 필요하지만 논의는 산으로 가고 있습니다. 문제를 통찰하는 근본적인 인식을 가지거나 최소한 듣는 귀라도 가지기를 바라지만 여지껏 제대로 된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변화와 위험들은 지난 블로그 및 컬럼 글에서 지적한 대로 입니다. 야생의 시대로 완전한 돌입이 되겠습니다.